반응형
결혼식에서 축의금 봉투를 제대로 작성하는 것은 기본적인 예의입니다. 신랑·신부에게 실수 없이 축하의 마음을 전하기 위해 올바른 축의금 봉투 작성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축의금 봉투 외부 작성 방법
봉투 앞면에는 축하 문구와 받는 사람의 정보를, 뒷면에는 본인의 이름과 소속을 적어야 합니다.
✅ 앞면 작성법
- 한자로 쓰는 경우 (격식 있는 표현)
- 祝結婚 (축결혼)
- 謹呈 (근정: 공손히 드립니다)
- 한글로 쓰는 경우
- 축 결혼
- 축 화혼 (화혼: 혼인을 뜻하는 격식 있는 표현)
✅ 뒷면 작성법 (이름과 소속)
봉투 뒷면 좌측 하단에는 본인의 이름과 소속(회사명, 단체명 등)을 기재합니다.
📌 이유: 신랑·신부가 축의금을 정리할 때, 누가 보낸 것인지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2. 축의금 봉투 내부(돈) 정리하는 방법
✔ 돈 방향 정리
- 신권(새 지폐)을 준비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지폐의 앞면(초상화가 있는 쪽)이 봉투 앞면과 같은 방향이 되도록 넣습니다.
✔ 금액별 축의금 봉투 선택
- 5만 원 이하: 일반 봉투
- 10만 원 이상: 두꺼운 봉투 또는 속지 추가
📌 꿀팁: 지폐가 구겨지지 않도록 빳빳한 상태를 유지하세요!
3. 축의금 금액과 인사말 작성
💰 축의금 금액 추천
- 지인/친구: 5만~10만 원
- 회사 동료: 7만~10만 원
- 가까운 친척: 20만~50만 원
- 형제자매: 50만 원 이상
📌 금액을 정할 때 주의할 점
- 4(死), 9(구: 苦)와 같은 부정적인 숫자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3, 5, 7 등의 홀수 단위가 일반적입니다.
🎁 함께 쓸 수 있는 축하 문구 예시
- 행복한 결혼생활을 기원합니다.
- 두 분의 앞날에 사랑과 행복이 가득하길 바랍니다.
- 아름다운 미래를 응원합니다.
4. 축의금 봉투 쓰기 시 주의할 점
❌ 잘못된 예시
- ‘축의금 봉투’라고 적는 것은 불필요합니다.
- ‘축’을 ‘祝儀’(축의)로 쓰는 것은 의미 중복이므로 피하세요.
- 너무 화려한 봉투보다 흰색 봉투가 일반적입니다.
✅ 예의 바르게 봉투 쓰는 방법 요약
- 봉투 앞면에 ‘축 결혼’ 또는 ‘祝結婚’ 작성
- 봉투 하단에 받는 사람(신랑·신부) 기재
- 봉투 뒷면 좌측 하단에 자신의 이름과 소속 작성
- 돈의 방향을 맞춰서 깨끗한 상태로 넣기
- 4, 9 숫자는 피하고 홀수로 금액 맞추기
반응형
'일상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교학점제란? 2025년 전면 시행! 제대로 알아보자 (1) | 2025.03.02 |
---|---|
스위치온 다이어트 식단 – 체중 감량과 건강을 동시에 잡는 비결! (1) | 2025.03.02 |
가다실 9가 부작용 – 접종 전 꼭 알아야 할 정보 (1) | 2025.02.25 |
벚꽃 개화 시기 2025 총정리 🌸 (0) | 2025.02.24 |
사랑니 발치 후 식사, 언제부터 가능할까? 먹어도 되는 음식 총정리! (1) | 2025.02.18 |